ㅎㅎㅎ 짭프로에서 고프로로 기변ㅋㅋ
딥큐브 알루미늄 하우징 장착 완료 ㅋㅋ
몇 일 동안 강사님 고프로 빌려 써보면서 딥큐브 하우징 마음에 들어 구입
아무래도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의심스러워서....
맘에 든다!
특히 렌즈를 낄 수 있게 둥글게 렌즈 처리된거랑, 딥큐브 렌즈들이 마음에 들었다
잘 만들어진 것 같은 느낌 물씬


고프로4 실버 기본 광각모드
풍경찍는데 너무 넓게 찍혀서 당황..... 풍경은 4:3 모드로 찍어야겠.........
아무래도 바깥쪽의 왜곡은 있다
근데 신기하게 수중에서는 이런 왜곡이 거의 다 사라짐
물의 굴절률 때문인 것 같다 쿄쿄
고프로4 실버 + 접사렌즈
10cm 정도 거리에 최적화!!
고프로4 실버 + 수중용 레드필터
빨리 써보고 싶다 물속에서
.
.
.
.
.
.
고프로로 촬영하였지만 레드필터를 사용하고 안하고의 색감차이를 위해 동영상 3편을 올린다.
1번은 고프로/레드필터O/보정X, 2번은 고프로/레드필터X/보정X, 3번은 고프로/레드필터X/보정O
동영상을 보기전에 결론부터 말하면, 고프로에는 레드필터가 있어야 한다.
ISO 및 화이트발란스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기종이면 당연히 필요가 없겠지만
고프로는 작고 간편한 조작이 장점인 대신 그런 수동적인 조절을 할 수 없다.
그렇기 때문에 수중에서는 5미터 이상 들어가면 푸르딩딩하게 나온다.
여기서 의문점 몇가지
<1> 레드필터만 끼면 색이 다 살아나나? -> 대답은 NO, 아니다
하지만 수중에서 육안으로 보는 것(혹은 앰버렌즈를 착용한 것)과 거의 동일한 색깔을 낼 수 있다.
여기에 좋은 확산형 비디오라이트가 있으면 금상첨화 (아직은 희망사항이지만^^)
<2> 레드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베가스 프로같은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RGB의 R값을 높게 조정하는 방법?
-> 나도 레드필터를 쓰기 전에는 이렇게 편집프로그램의 기능을 감사히 이용하였다.
그런데 이 방법의 문제점은,
동영상에 따라 이 방식으로 붉은색감이 조절되는 것이있고 안되는 것이 있다는 점
그야말로 복불복이다.
아예 처음부터 붉은 색감을 입혀 촬영하는 것이 일정한 아웃풋를 낼 수 있는 것 같다.
.
.
.
그럼 이제 영상을 보도록 !!!
.
.
1. 수중에서 레드필터 사용한 영상 (위: 수심 8미터~18미터, 아래: 수심 17~20미터)
2. 레드필터 사용하지 않은 영상 (수심 5~8미터), 보정X
3. 레드필터 사용하지 않은 영상 (수심 15~20미터), 후보정O (소니 베가스 프로)
얼른 날씨가 회복되서 다이빙가고 싶다!!!!!!!!!!
태풍 얼른 지나가라
아직 오지도 않았지만....ㅠ